6051 ~ 6060 코드업 기초 100제 (py)

2023. 6. 21. 01:27Programming Language/문제

728x90

6051 : [기초-비교연산] 정수 2개 입력받아 비교하기4(설명)(py)

a,b = input().split()
a = int(a)
b = int(b)
print(a != b)

6052 : [기초-논리연산] 정수 입력받아 참 거짓 평가하기(설명)(py)

a = int(input())
print(bool(a))

6053 : [기초-논리연산] 참 거짓 바꾸기(설명)(py)

a = bool(int(input()))
print(not a)
"""
예시
a = bool(int(input()))
print(not a)

참고
a = bool(int(input()))
와 같은 형태로 겹쳐 작성하면, 한 번에 한 단계씩 계산/처리/평가된다.
위와 같은 명령문의 경우 input( ), int( ), bool( ) 순서로 한 번에 한 단계씩 계산/처리/평가된다.

어떤 불 값이나 변수에 not True, not False, not a 와 같은 계산이 가능하다.

참 또는 거짓의 논리값을 역(반대)으로 바꾸기 위해서 not 예약어(reserved word, keyword)를 사용할 수 있다.

이러한 논리연산을 NOT 연산(boolean NOT)이라고도 부르고,
프라임 '(문자 오른쪽 위에 작은 따옴표), 바(기호 위에 가로 막대), 문자 오른쪽 위에 c(여집합, complement) 등으로 표시한다.
모두 같은 의미이다.

참, 거짓의 논리값 인 불(boolean) 값을 다루어주는 예약어는 not, and, or 이 있고,
불 값들 사이의 논리(not, and, or) 연산 결과도 마찬가지로 True 또는 False 의 불 값으로 계산 된다.

정수값 0은 False 이고, 나머지 정수 값들은 True 로 평가된다.
빈 문자열 "" 나 ''는 False 이고, 나머지 문자열들은 True 로 평가된다.

** 불 대수(boolean algebra)는 수학자 불이 만들어낸 것으로 True(참)/False(거짓) 값만 가지는 논리값과 그 값들 사이의 연산을 다룬다.
"""

6054 : [기초-논리연산] 둘 다 참일 경우만 참 출력하기(설명)(py)

a,b = input().split()
print(bool(int(a)) and bool(int(b)))
"""
예시
a, b = input().split()
print(bool(int(a)) and bool(int(b)))

참고
and 예약어는 주어진 두 불 값이 모두 True 일 때에만 True 로 계산하고, 나머지 경우는 False 로 계산한다.
이러한 논리연산을 AND 연산(boolean AND)이라고도 부르고, · 으로 표시하거나 생략하며, 집합 기호 ∩(교집합, intersection)로 표시하기도 한다. 
모두 같은 의미이다.

참, 거짓의 논리값 인 불(boolean) 값을 다루어주는 예약어는 not, and, or 이 있고,
불 값들 사이의 논리(not, and, or) 연산 결과도 마찬가지로 True 또는 False 의 불 값으로 계산된다.

** 불 대수(boolean algebra)는 수학자 불이 만들어낸 것으로 True(참)/False(거짓) 값만 가지는 논리값과 그 값들 사이의 연산을 다룬다.
"""

6055 : [기초-논리연산] 하나라도 참이면 참 출력하기(설명)(py)

a,b = input().split()
print(bool(int(a)) or bool(int(b)))
"""
or 예약어는 주어진 두 불 값 중에서 하나라도 True 이면 True 로 계산하고, 나머지 경우는 False 로 계산한다.
이러한 논리연산을 OR 연산(boolean OR)이라고도 부르고, + 로 표시하거나, 집합 기호 ∪(합집합, union)로 표시하기도 한다.
모두 같은 의미이다.

참, 거짓의 논리값 인 불(boolean) 값을 다루어주는 예약어는 not, and, or 이 있고,
불 값들 사이의 논리(not, and, or) 연산 결과도 마찬가지로 True 또는 False 의 불 값으로 계산된다.

** 불 대수(boolean algebra)는 수학자 불이 만들어낸 것으로 True(참)/False(거짓) 값만 가지는 논리값과 그 값들 사이의 연산을 다룬다.
"""

6056 : [기초-논리연산] 참/거짓이 서로 다를 때에만 참 출력하기(설명)(py)

a,b = input().split()
c = bool(int(a))
d = bool(int(b))
print((c and (not d)) or ((not c) and d))
"""
xor연산으로 계산한다
"""

6057 : [기초-논리연산] 참/거짓이 서로 같을 때에만 참 출력하기(설명)(py)

a,b = input().split()
c = bool(int(a))
d = bool(int(b))
print(((not c) and (not d)) or (c and d))
"""
nxor연산으로 계산한다
"""

6058 : [기초-논리연산] 둘 다 거짓일 경우만 참 출력하기(py)

a,b = input().split()
c = bool(int(a))
d = bool(int(b))
print(not(c or d))

6059 : [기초-비트단위논리연산] 비트단위로 NOT 하여 출력하기(설명)(py)

a = int(input())
print(~a)
"""
정수 n이라고 할 때,

~n = -n - 1
-n = ~n + 1 과 같은 관계로 표현할 수 있다.

이 관계를 그림으로 그려보면 마치 원형으로 수들이 상대적으로 배치된 것과 같다.
"""

6060 : [기초-비트단위논리연산] 비트단위로 AND 하여 출력하기(설명)(py)

a, b = input().split()
print(int(a) & int(b)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