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mbedded/ARM Cortex(3)
-
[IDEC] ARM Cortex-M 프로세서 기반의 펌웨어 설계실무 3
3일차 리셋이 되면 최초실행되는 명령어가 vectors 테이블의 0번지 - 0번지는 bin파일내용 mcu내부에 sram – sram 시작 주소 : 2천만번지 스택은 램에있어야한다. – push, pop하기 위해 스택 사이즈 - 400은 1024바이트 정도이다. Stack_mem ARM 프로세서 ARM에선 스택의 증가방향 – 주소가 감소 SP가 스택의 푸쉬를 하면할수록 내려간다(1024바이트의 위에서 중간으로) / 팝하면 다시 증가함 PUSH와 POP명령어가 있는데 PUSH{ }와 POP{ }의 { }는 레지스터만 들어갈 수 있다. PUSH{R0 – R3} 스택의 용도 : 전역변수는 빌드하면 주소 고정 지역변수는 빌드하면 주소가 유동적 – 스택에 사용됨 Main에 오기전에 실행되는 과정 - 전원을 껐다켜면..
2023.08.10 -
[IDEC] ARM Cortex-M 프로세서 기반의 펌웨어 설계실무 2
파이프라인 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파이프라인은 프로세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이다. 파이프라인은 명령어 실행 과정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동시에 여러 명령어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. 이렇게 하면 단일 명령어의 실행 시간을 줄이고, 전체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. 명령어를 가지고 와서 비트단위로 분석하는 것이다. sfp파일에 값이 변경되면 이 값에 따른 하드웨어가 반응을 한다. Cortex -m의 메모리맵에선 pheripheral의 주소가 4천만번대이다. Cortex m의 메모리맵에 맞춰서 주소를 입력해줘야 한다. Peripheral은 2가지 존재 – 칩제조사가 만든 것과 cortex가 만든 것 Sfp파일 통해 하드웨어 설정 가능 System timer : 떨어지는 주..
2023.08.10 -
[IDEC] ARM Cortex-M 프로세서 기반의 펌웨어 설계실무 1
IDEC 본센터에서 ARM Cortex-M 프로세서 기반의 펌웨어 설계실무강의를 듣고 왔다. IDEC에서 들은 강의를 내가 이해한 대로 작성할 생각이다. ARM Cortex-M ARM Holdings에서 개발한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의 일련의 제품군 주로 임베디드 시스템 및 이동식 장치에서 사용되는 프로세서로, 낮은 전력 소비와 뛰어난 성능을 조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. ARM Cortex 시리즈는 크게 세 가지 주요 계열로 나눌 수 있다. Cortex-A 시리즈 이 계열의 프로세서는 고성능 컴퓨팅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설계되었다. 스마트폰, 태블릿, 네트북 및 서버와 같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사용된다. 이 프로세서들은 다중 코어 지원, 대규모 캐시, 고급 부동 소수점 연산 등을 특징으로 하며, 복잡한..
2023.08.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