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ap, print_sep/end,list, tuple

2023. 6. 27. 17:39Programming Language/Python

728x90

파이썬은 코드를 한 줄 한 줄 싱행하여 결과를 얻는 방식인 인터프리터(interperter)방식으로 코드를 실행한다.

 

  • 세미콜론

파이썬은 세미콜론을 붙여도 문법 에러는 발생하지 않는다. 파이썬에서 세미콜론은 한 줄에 여러 구문을 사용할 때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다.

print('abc'); print('def')

 

  • type 함수

파이썬에서 type은 객체의 타입(자료형)을 알아내는 함수이다. 

type(값)

파이썬에서는 숫자는 객체(object)이고, 객체는 클래스(class)로 표현된다.

 

  • 변수 삭제하기

파이썬에선 변수 선언 후 선언한 변수의 이름을 삭제할 수 있다. del 키워드는 객체 자체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'변수의 이름'과 '변수의 참조 계수'를 감소시킨다

 

del 변수

 

  • map 함수

파이썬에서 입력을 받는 함수인 input() 함수는 기본적으로 문자열로 입력되는 값을 저장한다. 그래서 해당 문자열을 정수 등으로 변환하는 작업이 번거로울 수 있다. 그럴때 map 함수를 사용해서 쉽게 변환 가능하다.

 

변수1, 변수2 = map(자료형, input().split())

 

ex)

a,b,c = input().split()
d = type(a)
e = type(b)
f = type(c)
print(d, e, f)

a,b,c = map(int,input().split())
d = type(a)
e = type(b)
f = type(c)
print(d, e, f)

map함수를 이용해 문자열(str)이 정수형(int)로 변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  • print의 sep, end
  • sep : sep에 문자(문자열)을 지정하면 값 사이에 문자(문자열)을 넣을 수 있다.
a,b,c = map(int,input().split())
d = type(a)
e = type(b)
f = type(c)
print(d, e, f, sep = '\n')

기본 출력 / sep = '\n' 적용 후 출력

  • end : end에 문자(문자열)을 지정하면 출력하는 값 끝에 문자(문자열)을 넣을 수 있다.
a,b,c = map(int,input().split())
d = type(a)
e = type(b)
f = type(c)
print(d, e, f, end = '\n')

기본 출력 / end = ' ' 적용 후 출력

 

  • 리스트

c언어의 배열과 같은 개념. 리스트는 파이썬의 자료형 중 하나로 변수에 값 저장 시 [ ]로 묶어주면 리스트가 된다. 리스트에 저장된 값들은 요소(element)라 부른다.

리스트 = [값, 값, 값]

리스트는 모든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으며 자료형을 섞어 저장할 수도 있다.

 

리스트는 range 함수를 이용해서 여러개를 생성할 수 있다.

변수 = list(range(시작값, 끝값))
a = list(range(0,5))
print(a)

 

  • 튜플

튜플은 파이썬의 자료형 중 하나로 리스트와 같이 요소를 저장하지만, 안에 저장된 요소를 변경, 추가, 삭제할 수는 없다. (C언어의 문자열 리터럴과 같은 읽기 전용 리스트이다) 리스트는 [ ]로 값을 입력하지만, 튜플은 ( )로 값을 입력한다. 

 

튜플 = (값. 값. 값)

튜플 또한 리스트와 같이 모든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으며 자료형을 섞어 사용할 수도 있다.

 

튜플도 range함수를 이용해 여러개를 생성할 수 있다.

변수 = tuple(range(시작값, 끝값))
a = tuple(range(0,5))
print(a)